육아교육

거짓말하는 아이,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?

i 365 2025. 3. 5. 10:14
반응형

 

아이가 거짓말을 하면 부모는 당황하거나 걱정할 수 있다. "우리 아이가 나중에 거짓말쟁이가 되는 건 아닐까?" 하는 불안감도 생길 수 있다. 하지만 사실 아이들의 거짓말은 성장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현상이다. 중요한 것은 아이가 왜 거짓말을 하는지 이해하고, 올바르게 지도하는 것이다.

 

아이들은 왜 거짓말을 할까?

아이들이 거짓말을 하는 이유는 다양하다. 단순한 장난일 수도 있고, 자신을 보호하려는 본능적인 행동일 수도 있다.

1. 혼날까 봐 두려워서

아이가 실수나 잘못을 저질렀을 때 부모에게 혼날까 봐 두려운 마음에 거짓말을 할 수 있다. 예를 들어, 유리컵을 깨뜨렸는데 "내가 안 했어!"라고 부인하는 경우다.

 

💡 부모가 할 수 있는 대응

  • 거짓말을 했다고 즉시 혼내기보다는, 아이가 사실을 이야기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.
  • "정말 실수였구나. 다음엔 조심하면 돼."라고 말해 주면, 아이는 솔직하게 말하는 것이 더 낫다는 것을 배울 수 있다.

 

2. 관심을 끌고 싶어서

어른들의 관심이 부족하다고 느낄 때, 아이는 거짓말로 주목을 받으려 할 수 있다. 예를 들어, "나 어제 슈퍼맨 봤어!" 같은 터무니없는 이야기를 하는 경우다.

 

💡 부모가 할 수 있는 대응

  • 아이가 관심받고 싶어 한다는 신호로 받아들이고, 평소에 대화하는 시간을 늘려 주자.
  • 거짓말이 아니라도 아이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면, 과장된 말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깨닫는다.

 

3. 상상과 현실을 구분하지 못해서

특히 3~5세의 어린아이들은 상상과 현실을 정확히 구분하지 못해 거짓말처럼 보이는 말을 할 수 있다. 예를 들어, "내 친구는 하늘을 날 수 있어!" 같은 말을 하는 경우다.

 

💡 부모가 할 수 있는 대응

  • 이 연령대에서는 꾸짖기보다는 아이의 상상력을 존중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.
  • "그런 일이 있으면 정말 재미있겠네! 그런데 현실에서는 그렇게 되기 어렵지 않을까?" 같은 방식으로 부드럽게 대화해 보자.

 

4. 자신을 더 멋져 보이게 하려고

또래 친구들에게 인정받고 싶은 마음에 거짓말을 할 수도 있다. 예를 들어, "우리 아빠는 유명한 회사 사장이야!"라고 말하는 경우다.

 

💡 부모가 할 수 있는 대응

  • 아이가 스스로의 모습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도록 도와주자.
  • "너는 있는 그대로도 충분히 멋진 아이야." 같은 말을 자주 해 주는 것이 좋다.

 

거짓말하는 아이, 부모가 해야 할 일

아이가 거짓말을 할 때 부모가 적절하게 반응하면, 아이는 정직함의 중요성을 배우고 올바른 행동을 익힐 수 있다.

✅ 1. 거짓말했다고 바로 혼내지 않는다

아이가 거짓말을 했다고 감정적으로 반응하면, 아이는 더 숨기려 할 수 있다. 먼저 차분하게 아이의 이야기를 들어 보자.

❌ 안 좋은 예
❌ "너 또 거짓말했지? 엄마가 다 알아!"

✅ 좋은 예
✅ "왜 그렇게 말했을까? 엄마한테 솔직하게 이야기해 줄 수 있어?"

 

✅ 2. 정직의 가치를 알려준다

거짓말을 하면 신뢰를 잃을 수 있음을 설명해 주자. 예를 들어, "만약 네가 한 말이 사실이 아닐 수도 있다고 생각되면, 친구들이 네 말을 믿지 않게 될 수도 있어."라고 부드럽게 설명하는 것이 좋다.

또한, 아이가 정직했을 때 칭찬해 주는 것도 중요하다.
✔ "솔직하게 말해 줘서 고마워!"
✔ "네가 사실대로 말하니 정말 멋지구나!"

 

✅ 3. 솔직하게 말할 기회를 준다

아이가 거짓말을 했다면, 이를 바로 지적하기보다는 솔직하게 말할 기회를 주는 것이 좋다.

💬 예시 질문

  • "네가 사실대로 말해 주면, 엄마(아빠)가 더 도와줄 수 있을 거야."
  • "다시 한번 생각해 보고 이야기해 줄래?"

이런 방식으로 아이가 부담 없이 솔직해질 수 있도록 돕자.

 

✅ 4. 부모가 정직한 모습을 보여준다

아이들은 부모의 행동을 보고 배운다. 부모가 사소한 거짓말을 한다면, 아이도 자연스럽게 거짓말을 하게 될 수 있다.

 

❌ 안 좋은 예
❌ "엄마는 바빠서 못 가." (사실은 가기 싫어서)
❌ "아빠한테는 말하지 말자."

부모가 정직한 모습을 보이면, 아이도 정직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우게 된다.


거짓말하는 아이, 걱정해야 할 경우

보통 어린아이들의 거짓말은 자연스러운 성장 과정의 일부다. 하지만 아래와 같은 경우라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수도 있다.

 

📌 지나치게 반복되는 거짓말
📌 다른 사람을 속이거나 조종하려는 거짓말
📌 죄책감 없이 거짓말을 즐기는 경우

이런 경우라면 아이의 심리 상태를 면밀히 살펴보고, 전문가 상담을 고려해 보는 것이 좋다.

 

https://youtu.be/raOlgTvBk7U

 

 

마무리: 아이의 거짓말, 올바르게 지도하자

아이의 거짓말을 무조건 나쁘다고 여기기보다,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 이해하고 올바르게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. 부모가 정직한 태도를 보이며 차분하게 대화하면, 아이는 자연스럽게 정직의 가치를 배울 수 있다.

 

💡 추가로 도움이 될 만한 글
📌 아이와의 대화법: 솔직하게 말하도록 돕는 방법

반응형